전설적인 인물이 되기를 꿈꾸는 모든 자들에게... 자세히보기

오늘의 묵상 37

플러스 인생, 제로 인생, 마이너스 인생

지난번에 '의미 있는 삶이란?' 글에서 플러스 인생, 제로 인생, 마이너스 인생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이번에는 좀 다른 기준으로 인생관을 분류해 보았다.1. 생산형 (기여형) – 사회와 타인을 위해 헌신하는 유형으로 자신이 속한 사회, 조직, 국가, 인류를 위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사람들 (예: 직업인, 공무원, 연구자, 의료인, 교육자, 기업가, 봉사자 등). 자신이 가진 능력과 자원을 활용하여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려 함 (플러스 인생).2. 소비형 (자기중심형) – 개인적 만족을 최우선하는 사람들로 자신의 삶과 만족을 중시하며 사회적 기여보다는 개인의 행복에 집중하는 유형 (예: 취미생활에 몰두하는 사람, 경제적 자립을 이룬 후 자유롭게 사는 사람). 개인적인 삶을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를..

오늘의 묵상 2025.03.31

공평과 공정 차이

'공평(Equality)'과 '공정(Equity, Justice)'은 같은 뜻 같지만 사실은 다르다. 사전적 의미로 공평은 '어느 쪽으로 치우치지않고 고름'을 의미하고, 공정은 '공평하고 올바름'을 의미한다. 즉, 공정은 공평을 포괄하고 있다. 공평은 성별이나 나이, 신체조건 등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것이라면, 공정은 각자의 조건들을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기회를 주더라도 (가능하면) 모두가 동등한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한 사회가 공평한 사회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높은 울타리가 시야를 가리는 야구장에서 키가 다른 아이 세명에게 야구경기를 볼 수 있도록 받침대로 쓸 상자를 나눠줄 때, 키와 상관없이 아이 세명 모두에게 똑같은 상자를 나눠주..

오늘의 묵상 2025.03.31

돈에 얽매이지 않으려면 돈이 있어야 한다

'돈에 얽매이지 않으려면 돈이 있어야 한다'라는 말은 맹자 (孟子)의 '항산항심(恒産恒心) –  재산이 있어야 마음의 여유와 도덕심도 항상 유지될 수 있다'라는 말과 같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기본적인 경제적 안정이 있어야 마음의 여유와 도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뜻으로, 생존이 불안하면 도덕성을 지키기가 어렵다는 현실적인 가르침입니다. 그러나 재산이 너무 많아지면 재산을 지키고 더 불리기 위하여 걱정과 근심이 끊이지 않게 됩니다. 더 나아가서 불의와 타협을 하기도 하지요. 그래서 나온 말이 '청빈낙도(淸貧樂道) – 가난하지만 깨끗하고 바른 삶을 즐긴다'라는 말입니다. 항산항심(恒産恒心)은 "항산(恒産)이 있어야 항심(恒心)이 있다"는 말로 기본적인 경제적 안정이 있어야 도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

오늘의 묵상 2025.03.29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라는 티베트 속담이 있습니다. 이것은 '걱정한다고 걱정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어차피 인생은 계획대로 안 되는 일이 많으므로), 떠다니는 구름과 굽이굽이 흐르는 강물(행운유수, 行雲流水) 같이 내일의 걱정은 버리고 오늘의 흐름에 마음을 맡기자'라는 뜻입니다. 이 속담과 비슷한 것으로 스페인어로 '케 세라 세라(Que sera, sera)'가 있는데, 이는 '뭐가 되든지 될 것이다'라는 의미로 영어로는 'Whatever will be, will be(어차피 될 거면, 된다)'입니다. (저자의 이전글 참조) 그러나 이 말대로 걱정 없이 넋을 놓고 살다가는 성공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도전이 없으면 발전이 없고, 열정을 가지면 자연히 마음이 쓰이고 걱정이 ..

오늘의 묵상 2025.03.28

국제연맹과 국제연합의 성립 과정 및 미국의 역할

1. 국제연맹 (League of Nations)국제연맹은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후, 전쟁을 방지하고 국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설립된 최초의 국제기구이다. 1919년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제안으로 베르사유 조약(Treaty of Versailles)에 의해 설립되어 1920년 공식 출범했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었으며, 출범 당시 42개국이 가입했으나 이후 최대 63개국까지 확대되었다. 하지만 미국은 상원의 반대로 가입하지 못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주요 국가들이 탈퇴하였고 (일본과 독일(1933), 이탈리아(1937)),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소련이 핀란드 침공으로 인해 국제연맹에서 제명되었다. 그 후 국제연맹은 사실상 기능을 상실하며 1946년 4월 18일..

오늘의 묵상 2025.02.11

빼앗기면 되찾을 수 있으나, 내어주면 되돌릴 수 없다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 아래와 같은 대사가 나온다'빼앗기면 되찾을 수 있으나, 내어주면 되돌릴 수 없다'   1. 조선(대한제국)은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걸까, 내어준 걸까? 1910년의 한일병합은 역사적 관점에 따라 "나라를 뺏긴 것"으로도, "내어준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한일병합조약은 일본이 군사력을 동원하고 강압적인 상황에서 체결되었으며, 대한제국의 고위 관리들조차 이에 저항할 여력이 없었으므로 강제적이고 불법적으로 나라를 강제로 빼앗긴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조선 말기의 정치적 부패와 내부적 분열, 그리고 외세에 의존하려는 무력한 외교 정책과 더불어, 일부 권력층이 일본과 결탁하여 매국 행위를 통하여 나라를 내어준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따라서 ..

오늘의 묵상 2025.01.16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아래는 시인 이상화가 1926년 6월 [개벽] 70호에 발표한 시로 국권 상실의 아픔과 국권 회복에의 염원을 담고 있다.이 시는 1920년대에 거의 유일한 대일(對日) 저항시로 남아있으며, 이 시로 인하여 [개벽]은 폐간되기에 이른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지금은 남의 땅―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해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국도 서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가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 밭아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는..

오늘의 묵상 2025.01.16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차이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이것은 대한민국 헌법 제1조 1항에 명기되어 있다.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국가의 기본원리로 삼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공화국이란 왕의 세습으로 통치되는 군주제와 반대 개념으로, 국민이 선출한 대표자가 제한된 임기 내에서 국민을 대표하여 국가를 다스리는 것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헌법 제1조 1항에 '자유주의'라는 표현은 없다. 그러면 한국은 자유주의 국가인가 아니면 사회주의 국가인가? 공산주의는 분명 아닐 테니까... 정치적으로 '공산주의'의 반대는 '민주주의'이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공산주의'의 반대는 '자본주의'이다.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중간 형태로 볼 수 있다. ♠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차이점1. 자유주의 (Liberalism..

오늘의 묵상 2025.01.03

의미 있는 삶이란?

'의미 있는 삶'이란 어떤 것일까요?어떻게 사는 것이 의미 있고 보람되며 '행복한 삶' 인가요? 의미 있는 삶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중요한 것은 나 자신의 삶의 목적과 가치를 찾아야 합니다. 매일의 선택과 행동이 스스로 정의한 삶의 목적과 가치와 일치할 때, 참된 의미의 삶을 살고 있다고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매일 맛있는 것 먹고, 건강하고, 물질적으로 풍족하고, 마음이 편하고, 여유롭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일지는 몰라도 '의미 있는 삶'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삶의 목적과 가치우리가 세상에 태어난 목적이 무엇인지, 단지 편안하게 살다 가는 것이 허무한지에 대한 답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우리가 태어난 이유나 목적이 미리 정해져 있다고도 하지만, 목적이란 주어..

오늘의 묵상 2024.12.21

뉴스위크 잡지 표지에 한국 대통령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Newsweek) 11월 15일 자 잡지에 대한민국 윤석렬 대통령이 실렸다는 소식에 휴스턴 동네 가게에 갔었지만 없었다. 그래서 아마존에 찾아보니 25불이라고 해서 구입은 안 하기로... 나에게 '국내 진실들 - 윤 대통령의 가장 큰 문제는 북한이 아니다'라는 표지 제목이 심상치 않아서 인터넷을 찾아보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10월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뉴스위크 취재진과 70여 분간 인터뷰를 했다고 한다(아래 사진 참조). 인터뷰에서 4대(의료·연금·교육·노동) 개혁과 저출산문제, 한일관계 개선, 그리고 북한문제 등을 다루었다고 한다. 그런데 북한보다 더 큰 문제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찾을 수 없었다.   그러다가 동아일보 기사에서 아래 기사를 찾았..

오늘의 묵상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