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적인 인물이 되기를 꿈꾸는 모든 자들에게... 자세히보기

역사속 오늘

역사 속 오늘, 8월 27일: 20년 전, 첫 6자 회담 (통일정책 변천사)

해양맨 2023. 8. 27. 00:00

역사 속 오늘, 8월 27일에 일어난 사건은:

 

1597년 - 칠천량 해전 발발
1896년 - 역사상 가장 최단기의 전쟁인 영국-잔지바르 전쟁 발발 (38분 전쟁)

1907년 - 대한제국 순종 황제 경운궁에서 즉위
1928년 - 미국·영국·프랑스·일본 등 15개국이 파리에서 전쟁을 거부하는 켈로그-브리앙 조약에 서명
1976년 -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최초로 유전자 합성에 성공
1980년 - 전두환이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당선
1983년 - 대한민국, 명성 그룹 김철호 회장, 탈세 및 업무상 횡령혐의로 구속
1985년 - 남북적십자 제9차 본회담, 평양인민문화궁전에서 개최
1986년 - 태풍 베라호 대한민국 강타, 34명 사망 및 실종, 재산피해 372여 억 원
1989년 - 일본 자위대, 태평양 군사훈련에 참가
1991년 - 몰도바 독립
2003년 - 베이징에서 대한민국·북한·러시아·미국·일본·중국 여섯 나라가 모여 첫 육자 회담 개최

 

오늘의 묵상: 북핵 6자 회담과 통일정책의 변천사

2003년 8월 27일, 20년 전 오늘 베이징에서 대한민국·북한·러시아·미국·일본·중국 여섯 나라가 모여 첫 육자 회담을 개최했습니다.

 

2003년 첫 6자 회담은 남북한과 미중러일의 장차관급 수석대표들이 북한의 비핵화를 비롯한 북한의 개방에 대하여 논의코자 성사되었습니다. 그 후 4년간 6차례 회담을 거쳐 2007년 10월 3일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 냈으나, 2009년 초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다시 복구하면서 6자 회담 합의는 사실상 파기됩니다.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 1차 북핵 육자 회담


북한의 비핵화를 통한 개방정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의 정권별 남북통일정책의 변천사를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제 1공화국: 이승만 정권 (1-3대)

1948년 - 1960년

한국전쟁 후 남북 분단 (1953), 북진멸공 정책
제 2공화국: 윤보선 (4대)/장면 내각

1960년 - 1961년

중립화 통일론, 통일문제 UN이관 주장

 < 박정희 군정: 1961년 - 1963년>
 
제 3공화국: 박정희 정권 (5-6대)

1963년 - 1972년

반공 방첩,  선경제 후통일 정책, 김신조등 무장간첩 남파, 프에블로호 납북등 남북긴장 고조
제 4공화국: 박정희 유신정권 (7-9대)

1972년 - 1979년

평화통일 정책으로 전환, 닉슨 독트린으로 냉전완화, 남북 적십자 회담 (1971), 7.4 남북 공동성명 - 통일 3대 원칙 발표 (1972), 6.23 평화통일 선언 (1973)
<최규하 (10대) / 신군부 정권: 1979년 - 1981년>  
제 5공화국: 전두환 정권 (11-12대)

1981년 - 1988년

민족화합 민주통일 정책, 남북 이산가족 찾기 (1983), 남북 이산가족 상봉 (1985)
제 6공화국: 노태우 정권 (13대)


1988년 - 1993년


한민족 공동체 통일 정책, 냉전체제 붕괴, 북방정책으로 한국-소련 수교 (1990); 한국-중국 수교 (1992), 남북한 UN동시 가입 (1991), 남북 기본 합의서 (1991),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1991)
                    김영삼 정권 (14대)

1993년 - 1998년

민족 공동체 통일 정책, 북핵 이슈로 긴장 고조,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남북 긴장 완화 공로로 노벨 평화상 수상, 김일성 사망으로 남북 정상회담 좌절
                    김대중 정권 (15대)


1998년 - 2003년


대북 화해 협력 정책 (햇볕정책), 금강산 해로관광 (1998), 최초 남북 정상회담 (2000) - 6.15 공동선언, 경의선 복구, 개성공단 설립, 김대중 노벨 평화상 수상 (2000)
                    노무현 정권 (16대)

 2003년 - 2008년

햇볕정책 계승한 평화 번영 정책, 첫 북핵 육자 회담 (2003), 2차 남북 정상회담 (2007)
                    이명박 정권 (17대)

2008년 - 2013년

先비핵화 後개방 기조 유지 (남북관계 퇴보). 북한 관광 금지, 이산가족 상봉 금지
                    박근혜 정권 (18대)

2013년 - 2017년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先대화, 後비핵화) 정책,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
                    문재인 정권 (19대)

2017년 - 2022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정책, 3차 남북 정상회담 (2018), 평창동계 올림픽 남북 공동입장 (2018), 북한의 개성 남북 연락 사무소 폭파 (2020)
                    윤석열 정권 (20대)

2022년 - 현재     

북한 인권문제와 비핵화를 요구하는 대북 강경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