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적인 인물이 되기를 꿈꾸는 모든 자들에게... 자세히보기

전체 글 675

예수님의 7가지 기적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에 기록된 7가지 표적 외에도 많은 기적을 행하셨는데 이 표적들이 기록된 이유는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라고 설명합니다 (요한복음 20:30–31).요한복음에 기록된 예수님께서 행하신 기적들①물을 포도주로 바꾸심요한복음 2:1–11시작과 변화의 주: 예수님이 새 언약의 기쁨을 가져오심②왕의 신하의 아들을 고치심요한복음 4:46–54말씀의 권세: 멀리서도 치유하시는 능력③베데스다 못가의 38년 된 병자 치유요한복음 5:1–15절망 속 소망: 예수님의 자비는 자격을 초월함④오병이어로 5천 명을 먹이심요한복음 6:1–14생명의 공급자: 예수는 생명의 떡⑤물 위를 걸으심요한복음 6:16–21두려움 속 평안: 자연을 초월한 하나님의 임재⑥날 때부터 맹인 된 자를 고치심요..

신앙의 여정 2025.05.26

일제 강점기에 한국인은 일본 국적이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은 일본 국내법상 일본 국적자로 간주되었으나, 국제법적·도덕적·현대적 시각에서 볼 때, 일본 국적 부여는 불법적인 강제 병합에 기반한 것으로 원천 무효라는 주장에 타당성이 있습니다. 우선, 당시 우리나라의 국호는 무엇이었나요 - 대한제국?, 조선? 대한민국? 1910년 한일병합 조약 이후 "대한제국"이란 이름은 사라지고, 일본은 1945년까지 우리나라를 "조선"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1919년 3.1 운동 이후 임시정부가 세워지면서 주권 회복을 주장한 독립운동가들은 "대한민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1897~1910대한제국고종이 선포한 황제국1910~1945조선일본 제국이 사용한 행정 명칭1919~1945대한민국임시정부 및 독립운동 진영에서 사용 다시 국적으..

오늘의 묵상 2025.05.01

The rise, the fall, lost and found

"The rise, the fall, lost and found"는 "상승, 몰락, 상실과 발견"은 인간 경험의 순환적 본질을 포착한 시적 표현입니다.상승(The rise): 개인적, 직업적, 정서적, 영적 측면에서 성공, 진보 또는 성장의 시기를 의미몰락(The fall): 상승 이후의 쇠퇴, 실패, 상실 또는 고난을 암시상실(Lost): 종종 몰락 이후에 나타나는 혼란, 방향 감각 상실 또는 표류 상태를 의미발견(Found): 회복, 재발견 또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며, 종종 더 깊은 이해나 새롭게 된 자아감을 동반이 표현들은 파란만장한 인생의 여정, 즉 승리, 좌절, 상실의 순간, 그리고 궁극적으로 회복이나 자신의 재발견을 묘사합니다. 이야기, 노래 또는 다큐멘터리에서 개인이나 단체의 변화 과정을 ..

잡다한 상식 2025.04.11

꽃가루 알레르기와 미세먼지 지수(AQI) 관계

꽃가루 알레르기(pollen allergies)는 오존, 미세먼지(PM2.5 및 PM10),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오염 물질에 초점을 맞춘 대기 질 지수( Air Quality Index: AQI)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PM2.5(Particulate Matter 2.5 microns or smaller)는 머리카락의 1/30 사이즈로 화재 연기나 자동차 연소가스 등이 해당되고, PM10(Particulate Matter 10 microns or smaller)는 꽃가루, 먼지 등이 속하게 됩니다.  AQI는 PM2.5와 PM10을 포함하여 계산한 수치로, AQI가 높으면 공기 중에 미세 미립자가 많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QI 수치가 높은 날에는 공기 질이 더 나쁘므로 천식, 알레르기..

카테고리 없음 2025.04.09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대전의 전초전이라고도 불리는 스페인 내전(Spanish Civil War, 1936-1939년)은 스페인의 제2공화국 정부를 지지하는 정부군(공화파)과 이에 반대하는 반란군(국민파) 간의 내전이었습니다. 말이 내전이지 소련, 독일, 이탈리아 등 세계 여러 나라와 많은 용병들이 참전한 국제 전쟁이었습니다. 이 당시 미국, 영국, 프랑스는 불간섭 정책을 취했고, 여기에 자신을 얻은 히틀러는 스페인 내전이 끝난 지 6개월이 지나지 않은 1939년 9월 1일 폴란드를 침략함으로써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습니다.    내전 이전부터 스페인에서는 오랫동안 좌파와 우파가 갈등하고 대립해 왔습니다. 좌파인 공화파(정부군)는 마르크스주의에 영향을 받은 급진적인 진보주의자(주로 서민)와 카탈루냐 지방의 일부 ..

잡다한 상식 2025.04.06

자동차 검사 불합격시 대처 방법

오늘 매년 받아야 하는 텍사스주 차량검사에서 불합격을 받았다.   그 이유는 차량이나 엔진에는 이상이 없으나, 특정 배출 시스템 모니터(특히 촉매 모니터링 및 증발 배출(EVAP) 모니터링)에서 "준비 안 됨(Not Ready)"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아래 사진에서 세 곳).   최신 모든 차량에는 '온보드 진단 테스트, OBD (On-Board Diagnostics)' 장비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모니터링 기능을 통하면 차량을 직접 운전하거나 각종 기기의 작동 여부를 점검하지 않고도, 차량의 모든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배터리 재설정, 스캐너로 코드 지우기 또는 특정 수리를 한 경우에는 모니터링이 재설정(Reset)되므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잡다한 상식 2025.04.05

한국과 미국의 탄핵 역사

대한민국 헌정 사상 두 번째로 박근혜에 이어  윤석렬이 2025년 4월 4일 자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됐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에 이승만이 탄핵당한 것을 감안하면, 윤석렬 대통령의 탄핵-파면은 세 번째가 됩니다. 박근혜 대통령 (2013–2017)최순실 국정 개입 등 국정논란으로 2016년 12월 탄핵 소추, 2017년 3월 탄핵 인용 → 파면 노무현 대통령 (2003–2008)2004년 야당의 정치적 반대와 선거법 위반 논란 등으로 탄핵 소추되었지만 탄핵 기각 → 복귀 (탄핵 실패) 최규하 대통령 (1979–1980)1979년 12·12 군사 반란 이후 실권이 상실되며 1980년 8월 자진 사임 (하야) 윤보선 대통령 (1960–1962)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군정에 협조하다가..

잡다한 상식 2025.04.04

ChatGPT의 진화

Open AI회사의 인공지능 ChatGPT가 진화하여 이제는 무료로 사진을 원하는 포맷 즉, 만화책, 애니메이션, 캐리커처 또는 단순한 만화적 느낌의 스타일로 바꿔준다. 이 기능은 하루에 2개까지 무료로 가능하며, 그 이상을 원하면 하루를 기다리거나, 월 20불짜리 'ChartGPT Plus'에 가입해야 한다.  몇 가지 사용 예를 들자면: [예 1: 만화책 스타일]   [예 2: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Ghibli)풍]   [예 3: 단순한 만화풍]   [예 4: 피카소 화가풍]

잡다한 상식 2025.04.02

플러스 인생, 제로 인생, 마이너스 인생

지난번에 '의미 있는 삶이란?' 글에서 플러스 인생, 제로 인생, 마이너스 인생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이번에는 좀 다른 기준으로 인생관을 분류해 보았다.1. 생산형 (기여형) – 사회와 타인을 위해 헌신하는 유형으로 자신이 속한 사회, 조직, 국가, 인류를 위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사람들 (예: 직업인, 공무원, 연구자, 의료인, 교육자, 기업가, 봉사자 등). 자신이 가진 능력과 자원을 활용하여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려 함 (플러스 인생).2. 소비형 (자기중심형) – 개인적 만족을 최우선하는 사람들로 자신의 삶과 만족을 중시하며 사회적 기여보다는 개인의 행복에 집중하는 유형 (예: 취미생활에 몰두하는 사람, 경제적 자립을 이룬 후 자유롭게 사는 사람). 개인적인 삶을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를..

오늘의 묵상 2025.03.31

공평과 공정 차이

'공평(Equality)'과 '공정(Equity, Justice)'은 같은 뜻 같지만 사실은 다르다. 사전적 의미로 공평은 '어느 쪽으로 치우치지않고 고름'을 의미하고, 공정은 '공평하고 올바름'을 의미한다. 즉, 공정은 공평을 포괄하고 있다. 공평은 성별이나 나이, 신체조건 등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것이라면, 공정은 각자의 조건들을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기회를 주더라도 (가능하면) 모두가 동등한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한 사회가 공평한 사회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높은 울타리가 시야를 가리는 야구장에서 키가 다른 아이 세명에게 야구경기를 볼 수 있도록 받침대로 쓸 상자를 나눠줄 때, 키와 상관없이 아이 세명 모두에게 똑같은 상자를 나눠주..

오늘의 묵상 2025.03.31